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워치로 건강 관리, 애플워치 vs 갤럭시워치 비교 분석

1. 스마트워치, 건강 관리 필수 아이템

한때 스마트워치는 단순히 시간을 확인하고, 알림을 받는 기능에 집중된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심전도(EKG) 측정, 혈압 모니터링, 수면 분석 등 건강 관리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스마트워치를 착용하면 실시간으로 심장 건강을 체크하고, 혈압을 관리하며, 나의 수면 패턴까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마트워치는 애플워치(Apple Watch)와 갤럭시워치(Galaxy Watch)입니다. 애플과 삼성은 각각 iOS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최적화된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하며, 스마트워치를 통해 의료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애플워치와 갤럭시워치 중 어떤 제품이 건강 관리에 더 적합할지, 심전도(EKG), 혈압 측정, 수면 모니터링 기능을 중심으로 두 스마트워치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2. 심전도(EKG) 측정 기능 비교

심전도(EKG) 측정 기능은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하여 부정맥(심방세동 등) 감지에 도움을 주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만 가능했던 심전도 검사가 이제는 스마트워치를 통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2-1. 애플워치의 심전도 기능

애플워치는 시리즈 4부터 심전도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시리즈 10과 애플워치 울트라 2에서도 심전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측정 방법은 간단합니다.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디지털 크라운(측면 버튼)에 손가락을 30초 동안 올려두면 심전도가 기록됩니다. 측정된 데이터는 iPhone건강 앱에 저장되며, 필요할 경우 PDF로 변환하여 의사에게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 FDA(식품의약국)와 한국 MFDS(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기능이므로 신뢰도가 높으며, 실제로 병원에서도 부정맥 감지 보조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2. 갤럭시워치의 심전도 기능

갤럭시워치 역시 갤럭시워치 3부터 심전도 측정 기능을 탑재하였으며, 현재 갤럭시워치 7 시리즈에서도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측정 방식은 애플워치와 유사합니다. 스마트워치의 측면 버튼을 30초간 터치하면 심전도가 기록되며, 삼성 헬스 모니터 앱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워치와 마찬가지로 FDA 및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기능이므로 신뢰도가 높으며, 병원과 연계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삼성 헬스 모니터 앱은 갤럭시 스마트폰에서만 실행되므로, 갤럭시워치의 심전도 기능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갤럭시 스마트폰이 필요합니다.

2-3. 심전도 측정 기능 비교

애플워치와 갤럭시워치는 모두 심전도 측정 기능을 제공하며, 데이터 정확도도 비슷한 수준입니다. 다만, 애플워치는 iPhone과의 연동이 뛰어나고, 건강 앱을 통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점이 강점입니다. 반면, 갤럭시워치는 삼성 헬스 앱에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갤럭시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능 애플워치 갤럭시워치
심전도 측정지원 O O
의료기기 인증(FDA, MFDS) O
측정 방식 디지털 크라운 터치 측면 버튼 터치
데이터 저장 Apple 건강 앱 삼성 헬스 앱
스마트폰 연동 iPhone 갤럭시 스마트폰 권장

→ 심전도 기능은 애플워치와 갤럭시 워치 모두 지원하지만, iPhone 사용자라면 애플워치가, 갤럭시폰 사용자라면 갤럭시워치가 더 편리합니다.

 

스마트워치로 건강 관리, 애플워치 vs 갤럭시워치 비교 분석

 

3. 혈압 측정 기능 비교

혈압은 심장 건강을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현재까지 애플워치는 공식적으로 혈압 측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애플이 혈압 측정 기능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있지만, 2024년까지 출시된 애플워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면, 갤럭시워치는 혈압 측정 기능을 지원하는 몇 안 되는 스마트워치 중 하나입니다.

3-1. 갤럭시워치의 혈압 측정 기능

갤럭시워치는 갤럭시워치 3부터 혈압 측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스마트워치만으로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일반 혈압계(커프)로 보정(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처음 사용할 때와 이후 4주마다 한 번씩 일반 혈압계로 측정한 혈압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스마트워치에서 간편하게 혈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특히, 혈압 관리가 중요한 고혈압 환자나 만성질환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이 될 수 있습니다.

3-2. 혈압 측정 기능 비교

혈압 측정이 중요한 사람이라면 갤럭시워치가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다만,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정기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해야 하므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혈압계만큼 신뢰할 수는 없습니다.

기능 애플워치 갤럭시워치
혈압 측정 지원 X (미지원) O (캘리브레이션 필요)
삼성 헬스 모니터 앱 연동 X O
정기적 보정 필요 여부 X O (4주마다 혈압계 보정 필요)

→ 혈압 측정 기능이 필요하다면 갤럭시워치가 현재는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4. 수면 모니터링 기능 비교

4-1. 애플워치의 수면 모니터링 기능

애플워치는 ‘Apple 건강 앱을 통해 수면 패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시간, 렘수면, 깊은 수면 시간 등을 측정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해 줍니다. 또한, 취침 시간을 설정하고 수면 알람을 맞출 수도 있어, 수면 습관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애플워치 시리즈 10과 울트라 3부터는 수면 무호흡 감지기능도 추가가 되었습니다.

4-2. 갤럭시워치의 수면 모니터링 기능

갤럭시워치는 수면 패턴 분석 외에도 코골이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고 자면, 수면 중 코골이 여부를 감지하여 삼성 헬스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중 혈중 산소 포화도(SpO2)를 측정하여 수면 무호흡증 위험도까지 분석해 줍니다.

4-3. 수면 모니터링 기능 비교

애플워치와 갤럭시워치는 모두 수면 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갤럭시워치는 코골이 감지 및 혈중 산소 포화도 측정 기능까지 포함되어 있어 좀 더 세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기능 애플워치 갤럭시워치
수면 패턴 분석 O O
렘수면 분석 O O
코골이 감지 X O
수면 중 혈중 산소 포화도 측정 O O
AI 기반 수면 코칭 X O

→ 수면 모니터링 기능은 갤럭시워치가 더 강력하며, 코골이 감지와 AI 기반 분석을 제공하는 점이 장점입니다.

 

5. 갤럭시 워치 VS 애플워치

애플워치와 갤럭시워치는 각각의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스마트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iPhone 사용자라면? 애플워치

갤럭시폰 사용자라면? 갤럭시워치

혈압 측정이 필요하다면? 갤럭시워치

코골이 감지 및 수면 분석이 중요하다면? 갤럭시워치

스마트워치는 단순한 웨어러블 기기가 아니라 건강을 관리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스마트워치를 선택하고, 보다 체계적인 건강 관리 습관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앞으로의 시대에서는 점점 생활화 될 것입니다.